신버전인 구글 애널리틱스 4는
구버전인 유니서벌 애널리틱스에 비해서
데이터 모델을 근본적으로 혁신해서
더 강력하고 유연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구버전인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에 비해서
의외의 약점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예를 들어,
저는 방문 Session 대비 구매 전환율을 알고 싶은데
기본 제공되는 보고서를 아무리 살펴봐도
각 상품별 상세페이지 열람수 대비
구매 전환율만 찾을 수 있었습니다.
급한대로 Acquisition -> User Acquisition 메뉴에서
아래와 같이 New User와 Conversion -> purchase 지표를 확인해서
계산기로 3.61%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구글 애널리틱스 4를 활용하는 것은
알파고와 가위바위보 놀이만 하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도구가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입니다.
대시보드 및 데이터 시각화 도구: Google 데이터 스튜디오 보러 가기
[데이터 스튜디오에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시고
필요한 절차를 완료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빈 보고서를 클릭하세요.
Google 애널리틱스 탭을 클릭하세요.
전환율을 관찰하고 싶은
구글 애널리틱스 4 프로퍼티를 선택한 후 [추가]를 클릭하세요.
하지만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를 실습하기 위한 데이터는
필요한 모든 Snippet code를 에러없이 설치한 후
최소한 2~3주의 데이터 수집 기간이 필요합니다.
상황이 여의치 않거나 마음이 급하신 경우에는
Google Analytics 4 데모 계정을 연결해서
이러한 어려움을 쉽게 회피하실 수 있습니다.
Google Analytics 4 데모 계정을 연결하는 방법은
본 포스팅의 범위를 많이 벗어나기 때문에
아래의 애널리틱스 고객 센터 페이지에서

아래와 같이 기본 생성된 보고서 설정 화면이 표시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저 유입 세션수 대비 구매 전환율을
쌀집 계산기가 아닌 방법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간략히 알아보는 것이기 때문에
세련되게 시각화를 꾸미는 작업을 생략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차트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스코어 카드]를 2개 생성하세요.

왼쪽 [스코어 카드]의 측정 항목은 [세션수]를 선택하고
오른쪽 [스코어 카드]의 측정 항목은 [거래]를 선택하세요.
두개의 차트 위젯을 모두 선택한 후 우클릭하시면
[데이터 혼합]이라는 팝업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혼합]을 클릭하시면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가 눈치껏 전환율을 표시해 줍니다.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가 눈치껏 해주기를
바랄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아래의 캡처 화면과 같이
기간 선택 위젯을 추가해서
사용성을 조금만 더 개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버전인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에 익숙한 분들은
아래와 같은 전환율 시계열 그래프를 그리워하실 수도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4의 전환율 시계열 그래프를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에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차트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시계열]을 2개 생성하세요.

생성된 시계열 차트 위젯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차트 구성 미완료 메세지 박스가 표시됩니다.

[데이터 소스] 입력란에
관찰하고 싶으신 구글 애널리틱스 4 프로퍼티를 선택하세요.
참고로,
만약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를 선택하면
[측정항목]에 표시되는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좀 더 근본적으로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는 전환율 시계열 그래프를
기본 화면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불필요합니다.
[측정 항목]에서 [세션수]를 선택하세요.
[데이터 소스] 입력란에
관찰하고 싶으신 구글 애널리틱스 4 프로퍼티를 선택하세요.
[측정 항목]에서 [전자상거래 구매 횟수]를 선택하세요.
두 가지 시계열 그래프 위젯을 설정한 후
두 위젯을 동시에 선택하고 우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 혼합]이라는 팝업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조금 전에 살펴보셨던
[스코어 카드]의 나눗셈과 매우 유사합니다.
[데이터 혼합]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두 시계열 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되는 그래프가 표시됩니다.
실망하지 마시고
오른쪽의 [데이터] 탭에서 [측정항목 추가]를 클릭하세요.
[필드 만들기]를 클릭하세요.
[이름] 입력란에 구매 전환율을 입력하시고
[수식]에 [전자상거래 구매 횟수] / [세션수]를 입력하세요.
참고로,
수식은 이 포스팅에서 텍스트를
복사하여 불텨넣기 하시면 안됩니다.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에서
수식 검증을 완료하면 [적용]을 클릭하세요.
그러면 아래와 같이
구매 전환율을 파악하기 어려운
그래프 형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과 동일하게
실망하지 마시고 [데이터] 탭에서
[측정항목] 중 [세션수]와
[전자상거래 구매 횟수]를 제거하세요.
이제 목표로 했던
세션 수 대비 구매 전환율의
시계열 그래프가 표시되었습니다.
그저 설정을 편리하게 진행하기 위해
위쪽에 생성했던 세션수 시계열 그래프와
전자상거래 구매 횟수 시계열 그래프는
제거하셔도 [혼합 데이터]의
시계열 그래프는 계속 표시됩니다.
여기까지 세심하게 살펴보셨다면
구글 애널리틱스 4에서
전환율 시계열 그래프를
불친절하게도 직접 제공하지 않는 이유를
좀 더 공감하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구글 애널리틱스 4와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를
좀 더 다채롭게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