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온라인 매체와 전통 매체의

같고 다른 점을 정확히 이해할 수록

 

온라인 브랜딩을 시작할 때

더 효율적으로 혹은 효과적으로

매체 예산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_매체_전통_매체.png

 

예를 들어,

한국인의 독특한 사상을 이해하려면

단군 신화부터 살펴보는 것이

2000년대의 상황부터 살펴보는 것보다

더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한국인도 고유한 생각은

긴 역사 속에서 형성된 문화에

크고 작은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광고 매체도 동일합니다.

 

2021년의 최신 온라인 영상 매체도

자세히 살펴보면 공중파의 광고 운영 개념과

유사한 부분이 매우 많습니다.

 

심지어는

역사가 깊은 대형 광고주들은

여전히 전통 매체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는데

 

최첨단의 온라인 매체와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최첨단의 온라인 매체 운영사에

최신 매체도 전통 매체의 평가 지표로

해석해 달라고 요구하기도 합니다.

 

GRP_CPRP.png

기술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전통 매체 운영사에 Cost Per View 지표를 요구하는 것보다

최첨단의 온라인 매체 운영사에 GRP 지표를 요구하는 것이

그나마 공통 지표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온라인 매체만 운영하는 담당자도

Gross Rating Point와 같은 전통 매체의 지표를

이해하시면 실무에서 더 유용합니다.

 

하지만

Gross Rating Point를 공부하려고 하셔도

그 자체에 대한 정보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지표를 최첨단의 온라인 매체의 지표와

함께 살펴보는 방법에 관한 정보는

그다지 충분하지 않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저희 싱글뷰가 몇 호의 포스팅에 걸쳐서

전통적인 광고 매체의 평가 지표를 자세히 살펴보고

최첨단의 온라인 매체의 지표와 비교해 보고자 합니다.

 

1. 전통 매체의 주요 평가 지표를 나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Rating

 

*. Household Using TV / People Using TV

 

*. Gross Rating Points

 

*. Gross Impressions

 

*. Reach

 

*. Frequency

 

* CPP 혹은 CPRP

 

*. CPM

 

이제 각 지표의 정의를 알아보고 

이해하기 쉬운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2. 전통 매체의 평가 지표인 Rating은 무엇일까요?

 

전통 매체 평가 지표에 관한 모든 논의는

사실 Gross Rating Points를 이해하고 평가하려는 노력입니다.

 

GRP라는 알쏭달쏭한 지표를 도출하려는 이유는

일단 미뤄두고 이 GRP에서도 핵심은

Rating이라는 점만 이해하셔도 충분합니다.

 

그래서

Rating이라는 개념부터

명확하게 이해하시면 이후의 논의가 매우 쉬워집니다.

 

Rating은 특정 매체에서 광고 노출%라고

이해하시는 것이 가장 직관적입니다.

 

왜냐하면 Rating을 계산하는 공식이

아래와 같기 때문입니다.

 

특정 매체에서 노출된 표본(=시청자)의 수 / 전체 표본(=시청자)의 수

 

아래 그림의 예시와 함께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rating_예시.png

 

어떤 TV 광고 혹은 TV 드라마의 효과를 평가하려면

최소한 두 가지 수준을 살펴봐야 합니다.

 

가구 수준 노출%(=Rating) = 특정 기간 동안 시청한 가구의 비율

 

타겟 수준 노출%(=Rating) = 특정 기간 동안 시청한 사람의 비율

 

두 가지 노출%의 통계적 모호함은 일단 논외로 하고

위와 같은 Rating 지표의 정의에 따라서

 

사례 1번 광고 구성원 1만 시청했기 때문에

가구 수준 Rating은 5가구 중

1가구만 시청했으므로 20%입니다.

 

하지만

타겟 수준 Rating은 20명 중에서

1명만 봤기 때문에 5%로 급락합니다.

 

그러면 사례 1번 광고의 Rating은

가구 수준인 20%로 봐야 할까요?

타겟 수준인 5%로 봐야할까요?

 

바로 이 질문이!

 

매스미디어와 광고가 탄생한

수 십 년 전부터 

현대의 최신 온라인 광고 매체에도

계속되는 고민입니다.

 

그래서 한번 이해하시면

최신 온라인 매체에도 유용하게 적용하실 수 있는

매우 근본적인 효율성 평가 논리이기도 합니다.

 

3. Rating이 적용되는 매스미디어 구분하기

 

Rating 지표는 TV에만 적용되며

다른 매스미디어에 통계적으로는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개념이 적용됩니다.

 

Rating Vehicle Rating Message Rating
지상파 / 케이블 TV Program Rating Ad Rating
라디오

Program Listenership

(청취율)

Program Listenership

x 30∼50%의 가중치

종이신문 Readership(열독률) Readership x ad attention by size
잡지 / 정기간행물 Readership(열독률) N/A

 

그런데 안타깝게도

최신 온라인 광고 매체가 계속 등장하면서

전통 매스미디어의 위상이 계속 하락했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현실적으로 라디오나 종이신문의 Rating은 

진지하게 검토하는 경우가 매우 드뭅니다.

 

잡지 / 정기간행물 등의 출판사가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 하나는

위 표에서 보시듯이 Message Rating을 평가하는

방법론조차 마땅치 않다는 점입니다.

 

4. TV Rating을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

 

드라마_구성.jpg

 

많은 분들이 흔히 재밌는 드라마라고 이해하시는

방송 프로그램은 광고주 관점에서는

아래와 같이 세분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_rating_구성.png

 

위의 그림에서

프로그램 Rating은 전광고 + 본방송 + 후광고

방영 시간 동안의 평균 Rating을 의미합니다.

 

광고 Rating은 전광고와 후광고를 포함한

광고 시간 동안의 평균 Rating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 구성을 일상적으로 체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PTV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 예약하시면

본 방송이 시작하기 직전이 아니고

광고가 시작할 때 해당 채널로 이동시켜 줍니다.

 

그저 본 방송만 보고 싶은

시청자 입장에서는 다소 불편한 기능일 수 있지만

 

그 시청자에게 자사의 광고를 노출시키고 싶은

광고주 입장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 기능입니다.

 

아래의 표는

방송사가 매체 운영 전문가들과 공유하는

Rating 정보의 예시입니다.

 

흔히,

시청률이 높다 혹은 낮다와 같은 표현은

PD의 친구들한테 물어보는 것이 아니고

공인된 시청률 조사 기관에서 확보한

통계 자료에서 나옵니다.

 

프로그램_rating_타겟별.png

 

5. Household Using TV / People Using TV 를 알아볼 차례입니다.

 

특정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판단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지표는

HUT / PUT, Share 입니다.

 

HUT, Household Using TV라는 지표의 정의는

전체 모집단 중에서 특정 시간의 시청 가구(=household)의 비율입니다.

 

PUT, People Using TV 라는 지표의 정의는

전체 모집단 중에서 특정 시간의 시청 개인들(=people)의 비율입니다.

 

이에 더하여

Share라고 하는 동 시간대 특정 프로그램의

시청 점유율 지표를 결합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지상파 TV와 CATV 모두

항상 여러 개의 채널에서 프로그램이 방영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Share라는 지표의 정의는

전체 시청자 중에서 특정 시간 대 특정 광고나 프로그램을

시청한 가구(=household) 혹은 개인들(=people)의 비율입니다.

 

아래의 표를 보시면 명확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청률 조사 기관에서 확인한

월요일 22:00~23:00 시간대의

PUT가 45%라고 가정합니다.

 

시청률 조사 기관에서 확인한

동 시간대의 세 가지 드라마의 시청률이

각각 22%, 33%, 44%라고 가정합니다.

 

그러면 세가지 드라마의

Personal Rating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채널명 프로그램명 요일/시간 PUT Share(%) Personal Rating(%)
XBS2 멜로 드라마 월요일 22:00~23:00 45% 22% ~10%
NBC 병원 드라마 월요일 22:00~23:00 45% 33% ~15%
YBS 먹방 드라마 월요일 22:00~23:00 45% 44% ~20%
합계       100% 45%

 

세가지 드라마의 Personal Rating 총합은

수학적으로 당연히 PUT와 동일한 45%여야 합니다.

 

참고로,

Household Rating = HUT X Share입니다.

 

지금까지 설명해 드린 지표들은

그저 곱셈과 나눗셈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복잡한 통계 지표들입니다.

 

서로 다른 통계 지표에 사칙연산을 적용할 수 있으려면

수학적으로 매우 엄밀한 검증을 거쳐야 합니다.

 

그래서

제시해 드린 연산 외에는

임의로 적용하지 않으시는 것이

항상 더 안전합니다.

 

검증되지 않은 연산은

혼자보면 매우 그럴 듯하지만

전문가가 보면 매우 안타까운

엉뚱한 결론으로 데려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약간은 머리가 복잡해지셨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살펴본 지표들은

GRPs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개념일 뿐입니다.

 

충분한 바람을 쐰 후

다음 포스팅에서 본격적으로 GRPs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포스팅 보러 가기

TAG •
?

  1. 21
    Aug 2021
    11:29

    구글 애널리틱스 4의 이벤트 측정 방식을 알아보세요. - 2

    이전 포스팅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가장 핵심적인 모델 중 하나인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 데이터 모델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이벤트 데이터 모델 알아보기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 데이터 모델을 충분히 이해하셨다면 이번 포스팅에...
    Bysingleview.co.kr Views536
    Read More
  2. 11
    Aug 2021
    17:49

    구글 애널리틱스 4의 이벤트 측정 방식을 알아보세요. - 1

    구글 애널리틱스 v4는 그 직전 버전인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와 구조적으로 많이 다릅니다. 구글에서 일하는 개발자들에게도 서비스의 구조 변화는 달갑지 않은 도전이죠. 구글이 Urchin을 인수한 후에도 계속하여 개선했지만 현재의 인터넷 사용 방식과 기술은 ...
    Bysingleview.co.kr Views10202
    Read More
  3. 06
    Aug 2021
    06:49

    구글 애널리틱스 4의 체류 시간 측정 방식 이해하기

    저희가 광고주님들과 이야기를 나눠 보면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구글에서는 어느새 구글 애널리틱스 v4를 출시하고 더 이상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계정은 생성하지 못하게 했습니다. 우리가 너무 게으른 것인지 구글이...
    Bysingleview.co.kr Views2876
    Read More
  4. 30
    Jul 2021
    12:28

    GRP를 알아야 CPC를 더 정교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 4

    이전 포스팅에서는 동일한 GRPs, 다시 말해, 동일한 전파 광고 예산으로 광고 도달률(Reach)과 노출 빈도(Frequency)를 광고주의 입맛대로 조절할 수 없지만 목표 고객 선별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온라인 광고 매체에서는 목표 집단 설정이나 Remarketing...
    Bysingleview.co.kr Views648
    Read More
  5. 21
    Jul 2021
    17:57

    GRP를 알아야 CPC를 더 정교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 3

    GRP라는 전통 TVC 매체의 평가 지표를 소개하면서 시작한 연재는 점점 더 CPC라는 신생 온라인 매체의 평가 지표를 향해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GRPs와 CPRP라는 전통 매체를 평가하긴 위해 매우 중요한 지표를 살펴보았습니다. GRPs = Ratin...
    Bysingleview.co.kr Views1284
    Read More
  6. 13
    Jul 2021
    18:59

    GRP를 알아야 CPC를 더 정교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 2

    CPC로 대표되는 온라인 매체를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TVCF로 대표되는 전통 매체도 깊고 넓게 이해해야할 필요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 이전 포스팅에서는 아래의 두 가지 전통 매체 평가 지표를 살펴보았습니다. *. Rating *. Household Using TV / People...
    Bysingleview.co.kr Views912
    Read More
  7. 08
    Jul 2021
    04:00

    GRP를 알아야 CPC를 더 정교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 1

    온라인 매체와 전통 매체의 같고 다른 점을 정확히 이해할 수록 온라인 브랜딩을 시작할 때 더 효율적으로 혹은 효과적으로 매체 예산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인의 독특한 사상을 이해하려면 단군 신화부터 살펴보는 것이 2000년대의 상황부터 ...
    Bysingleview.co.kr Views623
    Read More
  8. 29
    Jun 2021
    14:53

    네이버 파워링크 키워드 검색수로 평가하는 시장 규모 혹은 타당성

    온라인 브랜딩을 시작할 때 전략 수립의 기초는 키워드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이미지나 동영상 광고의 비중과 그로 인한 중요성이 훨씬 더 크지만 그래도 온라인 브랜딩의 기초 전략은 키워드에서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다소 인문학적인 이유...
    Bysingleview.co.kr Views312
    Read More
  9. 22
    Jun 2021
    14:38

    여러가지 온라인 브랜딩 매체를 운용할 때, 매체 기여도를 중릭접으로 평가하는 방법

    온라인 브랜딩을 개시하는 초기에는 네이버 키워드 광고, 쇼핑 광고와 같이 짧은 시간에 투자 대비 효과가 발생하는 한 가지 유료 검색 매체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조직의 다양한 필요가 발생하여 운용하는 유료 검색 매체가 계...
    Bysingleview.co.kr Views464
    Read More
  10. 16
    Jun 2021
    11:40

    UTM Parameter를 적용할 때 흔한 실수를 피하세요.

    자사몰이나 브랜드 홈페이지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방문자를 증가시키는 노력을 하신다면 UTM이라는 단어는 한번 이상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UTM이라는 단어를 매우 흔하게 접해서 친숙하게 느끼실 수 있지만 제대로 사용하시려면 주의해야 하는 점이 있습니...
    Bysingleview.co.kr Views3021
    Read More
  11. 18
    May 2021
    13:33

    네이티브 광고 매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추적코드를 세밀하게 부여하기 어려운 바이럴 매체를 운영하며 잠재 고객의 성향과 가점을 추론하는 방법을 실무적인 관점에서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1. 네이버 블로그와 같은 네이티브 혹은 바이럴 광고 매체의 특징 네이버 블로그와 같...
    Bysingleview.co.kr Views498
    Read More
  12. 11
    May 2021
    08:02

    추적 코드가 부여된 UTM Parameter의 의미

    예산을 투입하여 온라인 캠페인을 시행하면 예산을 투입한 의미를 평가해야 합니다. 예산의 의미를 평가할 때 중요하게 기억하셔야 하는 전제는 "나의 사이트로 트래픽을 유입시킨다"입니다. 물론, 현실에서는 나의 사이트로 유입시킬 수 없거나 SNS 운용사의 ...
    Bysingleview.co.kr Views961
    Read More
  13. 05
    May 2021
    16:48

    신생 브랜드의 담당자 입장에서 알아야 하는 온라인 매체 특성

    이전 포스팅에서는 온라인 브랜딩 자체의 정의와 온라인 브랜딩 성공의 정의를 아래의 도표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온라인 브랜딩의 관점에서 구분할 수 있는 온라인 매체는 여러 가지입니다. 또한, 모든 매체는 개별적으로 매...
    Bysingleview.co.kr Views629
    Read More
  14. 01
    May 2021
    11:11

    온라인 마케터 관점에서 디지털 매체의 구성을 알아보세요. 4

    이전 포스팅에서는 여러 온라인 매체 중에서 키워드 검색 광고의 구조와 개념에 대해서 아래의 도표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살펴보시는 여러분 만큼 설명하는 저희도 괴롭습니다. 간단한 걸 어렵게 설명하면 당연히 안되겠지만 ...
    Bysingleview.co.kr Views410
    Read More
  15. 03
    May 2021
    11:16

    온라인 마케터 관점에서 디지털 매체의 구성을 알아보세요. 3

    이전 포스팅에서는 비검색 매체와 검색 매체의 유형과 주요 차이점 Paid라는 단어의 개념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네이버 블로그 바이럴 캠페인의 주의 사항을 아래의 도표와 함께 간략히 살펴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이전 포스팅에서는 위 도표에 ...
    Bysingleview.co.kr Views372
    Read More
  16. 01
    May 2021
    10:32

    온라인 마케터 관점에서 디지털 매체의 구성을 알아보세요. 2

    이전 포스팅에서는 유튜브가 등장한 이후 전통 매체에서 망설이던 광고 시장이 급변하고 그 결과, 브랜딩이라는 행위와 관련된 방법론도 새롭게 이해야 할 필요가 증가했다는 점을 아래의 도표와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이전 포스팅에서...
    Bysingleview.co.kr Views356
    Read More
  17. 30
    Apr 2021
    15:18

    온라인 마케터 관점에서 디지털 매체의 구성을 알아보세요. 1

    불과 7년전 만 해도 네이버에서 키워드 광고만 신경 쓰면 온라인 영업 성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었습니다. http://singleview.co.kr/blog/500 하지만 지난 7년 간 인간의 사회가 변한 만큼 온라인 매체의 구조도 크게 변하고 복잡해졌습니다. 1. 온라인 광고 ...
    Bysingleview.co.kr Views653
    Read More
  18. 12
    Jul 2015
    19:58

    How To Email Marketing

    이메일 마케팅 캠페인에서 성과를 얻으려면 open rate에서 시작하여 이메일 본문 중에서 클릭과 전환을 증가시켜야 하는 매우 과학적인 과정입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한번 더 꼼꼼하게 정리해 볼까요? HTML을 사용해야 할까? 단순 텍스트 이메일...
    Bysingleview.co.kr Views1041
    Read More
  19. 05
    Jul 2015
    00:41

    CPC 매체는 어떻게 운영해야 할까요?

    온라인 쇼핑몰과 같은 사이트를 운영하면 CPC 매체 운영 때문에 머리가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 당신의 사이트에 충분한 트래픽을 유도하는 것의 전제는 대부분의 방문자가 당신의 사이트에 유효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당신의 서비스나 사이트에 관심...
    Bysingleview.co.kr Views877
    Read More
  20. 29
    Mar 2015
    17:20

    FUNNEL 분석이란?

    지난 포스팅에서 Conversion Funnel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Funnel을 분석에 대해 알아볼까요? Funnel 분석이란? Funnel이란 당신의 웹사이트에서 고객이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결제 프로세스, 회원가입, 관...
    Bysingleview.co.kr Views26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