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온라인 브랜딩을 개시하는 초기에는 

네이버 키워드 광고, 쇼핑 광고와 같이

짧은 시간에 투자 대비 효과가 발생하는 

한 가지 유료 검색 매체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조직의 다양한 필요가 발생하여

운용하는 유료 검색 매체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매체_운용_전략.png

Hand 사진은 freepik - kr.freepik.com가 제작함

 

 

한 두 가지 유료 검색 매체만 운용할 때와 비교해보면

운용하는 유료 검색 매체가 다양해질수록

매출과 같은 외형은 비례하여 증가하지만

담당자의 행복도 비례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 새로운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 중에서 특히

각 매체의 기여도를 평가하여 기대 수익이 높은 곳으로

예산을 재조정하는 작업은 말처럼 간단하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를 위해 이해하셔야 하는 여러 가지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안내해 드리고 싶습니다.

 

1.

자사몰에 설치된 애널리틱스 도구를 사용하여

결제 시점에서 태깅된 매체 추적 UTM parameter를

매우 간단하게 비교하면 안되는 이유가 있습니다.

 

잠재 고객의 구매 경험 과정이

자사몰 내부의 전환 퍼넬로만 구성된다고 오해하시면 안됩니다.

 

아래의 페이지를 살펴보시면

 

http://singleview.co.kr/blog/17812

 

단지 검색 키워드 광고 매체에서도

잠재 고객은 메인 키워드, 미들 키워드, 롱테일 키워드를

불규칙적으로 조회하며

수 많은 브랜드 혹은 쇼핑몰 들과 상호 작용한다는 점을

한번 더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한 잠재 고객의 탐색 과정을

Google Analytics에서도 시각화하여 안내합니다.

 

아래의 화면은

그러한 시각화 예시 중 하나입니다.

 

구글_애널리틱스_멀티_채널_퍼넬.png

 

위의 화면 예시를 살펴보면

전환 횟수가 가장 많은 멀티 채널 퍼넬 유형은

자연 검색하여 자사몰에 방문하고 전환 없이 이탈한 뒤

브라우저에 주소를 입력하고 자사몰에 방문하여

전환 완료된 유형이라는 점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유형은

브라우저에 주소를 입력하고

자사몰에 방문하여 전환 없이 이탈한 뒤

브라우저에 주소를 입력하고

자사몰에 방문하여 최종 전환된 유형입니다.

 

세 번째 유형은 SNS가 개입하고 있습니다.

 

2.

위의 MCF 유형을 처음에 보면

매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MCF 해석을 위해 매우 많이 노력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온라인 브랜딩 실무자 입장에서는

MCF의 직접적인 의미를 아무리 고민하셔도

용두사미의 공허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허한_분석.jpg

Hand 사진은 benzoix - kr.freepik.com가 제작함

 

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MCF 유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기존 구매 고객들이 자발적으로 제시하는 의견과 후기가

쉽게 말해, Organic Search가 전환 목표에

중요하게 기여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Organic Search에 비용을 늘리면

미래 성과가 개선될 것이라는 매우 논리적인 결론을 얻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Organic Search에 비용을 어떻게 늘리냐는 것입니다.

 

네이버 블로거들을 대량으로 섭외해서

협찬받은 후기를 마구 쏟아부으면

Organic Search에 비용을 늘리는 것일까요?

 

어떤 방법을 고민하셔도 현실적이지 않은 이유는

 

비용을 늘리는 이유는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전제 때문입니다.

 

MCF 유형에서 명시한 Organic Search는

아마도,

실제 구매 고객의 자발적인 평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떻게 비용을 늘려야

실제 구매 고객이 자발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다른 비구매 고객들도 반할 정도로

자신의 블로그에 작성할까요?

 

이 고민이 끝도 없이 순환하는 이유는

그런 상태가 온라인 브랜딩의 시작이 아니고

이상적인 온라인 브랜딩의 결론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MCF 유형에서 지명된 SNS라는 매체도

사실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물론 저희는 

MCF 유형을 자세히 관찰하시는 것이

무조건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단지,

온라인 브랜딩 실무자에게는

투입하신 노력에 대비한 분석 성과라는 

가성비가 낮은 지표일 수 있다는 의견일 뿐입니다.

 

3.

온라인 브랜딩 실무자에게는 Assisted Conversion에서

좀 더 많은 시사점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Assisted conversion은 Google Analytics가 제공하는

다양한 분석 지표 중에서도

매우 간단하지만 유용한 편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위의 MCF 예시 화면을 보시면

Top Conversion Paths 위에

Assisted Conversion 이라는

메뉴 혹은 단어를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Assisted conversions을 정의하려면

Conversion Goal이라는 직관적인 개념을

우선 이해하셔야 합니다.

 

Conversion Goal, 전환 목표는

자사의 홈페이지를 운용하는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이라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입니다.

물론 다른 운용 목적도 있습니다.

 

Assisted conversions은

동일한 잠재 고객이

자사의 홈페이지나 쇼핑몰에 여러 번 방문해서

결국 Conversion Goal, 전환 목표를 달성했을 때

 

이러한 전환 목표가 달성되기 전의 이벤트를

주로 방문 이벤트를 아래와 같이

시간 순서대로 놓고 보겠다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좀 더 직관적입니다.

 

전환경로.jpg

 

Conversion Goal을 달성한 A라는 방문자를 관찰하니

마지막 Paid Search 매체를 통해 자사 홈페이지에 방문 후,

자사 홈페이지의 Conversion Goal이 달성되었다면

최소한 이 전환 경로에서는 Paid Search 매체가 

"Direct Conversion" 매체로 분류됩니다.

 

Orgarnic Search와 Social Network 매체는

안타깝게도 전환 직전에는 기여하지 않았지만

만약 이 두 매체가 없었어도 

Paid Search 매체를 이용했겠느냐는

질문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 두 매체를

Assisted Conversion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Conversion Goal을 달성한 B라는 방문자의 

전환 경로에서는 Social Network 매체가 

"Direct Conversion" 매체로 분류됩니다.

 

반면,

Orgarnic Search와 Paid Search 매체는

Assisted Conversion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Conversion Goal을 달성한 방문자들의

전환 경로를 모두 집계하면

 

Paid Search, Orgarnic Search, Social Network의

정량적인 성향이 도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Google Anaytics는 친절하게도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계산해 줍니다.

 

보조_전환_지표.jpg

 

4.

각 매체의 기여도를 평가하여 기대 수익이 높은 곳으로

예산을 재조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는

 

최초의 문제 제기로 돌아와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저희가 이번 포스팅에서 설명해 드리는 분석 관점은

수 많은 관점, 그리고 다양한 각도 중 하나라는 점을

항상 유념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무엇보다 먼저,

위의 예시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빨간 테두리를 보셔야 합니다.

 

Assisted / Last Click or Direct Conversions라는

장황한 지표의 의미는 사실 매우 직관적이고 유용합니다.

 

3항에서 Assisted Conversion과

Direct Conversion을 이미 살펴보셨습니다.

 

각 유입 매체에 대해서 두 가지 지표를 합산한 결과가

왼쪽 첫번째 붉은 테두리인 Assisted Conversions와

왼쪽 두번째 붉은 테두리인 Last Click or Direct Conversions입니다.

 

Assisted / Last Click or Direct Conversions라는 지표는

두 합산 수치를 서로 나누었을 뿐입니다.

 

단순히 두 지표를 나누면

매우 유용한 시사점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

분자가 Assisted Conversions 횟수이고

분모가 Direct Conversions 횟수이기 때문에

세 가지 경우의 수가 발생합니다.

 

1인 매체:

 

가장 똘똘한 매체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전환 과정의 시작과 마지막에 착실히 기여하기 때문에

온라인 브랜딩 예산이 감소하더라도

절대 사수해야 하는 다재다능한 매체이기 때문입니다.

 

실무적으로도 매우 바쁘다면

이 매체에만 집중하셔서 업무 시간을 줄이고

전환 성과는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카드입니다.

 

우주의 모든 것이 귀할수록 드물기 때문에

사실, 이런 매체는 좀 처럼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1보다 작은 매체:

 

0에 가까울수록 

간전 전환보다는 직접 전환에 기여하는 매체입니다.

 

현실적으로 가장 대표적인 매체가

네이버 브랜드 검색입니다.

 

신생 브랜드라면 잠재 고객이

자사의 브랜드 명칭을

검색 엔진에 정확히 입력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전환 과정일 수 있습니다.

 

신생_브랜드_네이버_브랜드검색_페이지.jpg

 

이런 직접 혹은 최종 전환 매체는

예산이 부족한 경우에는 예산 할당을 줄일 수 있을까요?

 

상당히 애매한 문제라는 점을 쉽게 공감하실 것입니다.

 

심사숙고한 잠재 고객이

네이버에서 해당 브랜드명을 입력했지만

확실하고 친절한 브랜드 정체성이 표시되지 않고

경쟁 제품의 키워드 광고만 표시되면

전환 목표 달성에 긍정적일리가 없습니다.

 

다만,

열 손가락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은 없지만

덜 불편한 손가락을 결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운영하고 싶은 매체는 많은데

예산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이 지표가 1일 수록 다재다능하다는

기본 원리를 기억하시고

 

1에 가까울 수록 포기하지 마시고

0에 가까울 수록 포기하시는 정책을

고려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보다 큰 매체:

 

1보다 커질수록 이 매체는

결코 전환 목표 달성 과정을

완료시키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매체 만큼은 예산이 부족하면

망설임없이 OFF 시킬 수 있고

 

예산이 풍부한 경우에도

비용 투입을 가장 망설이셔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이런 매체는 2항에서 언급한

"비용을 증가시키고 싶어도

현실적인 실행 방안이 마땅치 않은 매체"

 

다시 말해,

Organic Search의 역할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Organic의 의미가 자연 발생이라는 점을

한번 더 떠올리시면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5.

매체의 절대 지표도 반드시 고려하셔야 합니다.

 

Assisted / Last Click or Direct Conversions는

수학적으로 표준화시킨 지표의 속성이 강합니다.

 

계속 예시하는 아래의 도표에서

Assisted / Last Click or Direct Conversions 만 기준으로 보면

 

8번 매체가 2번 매체보다 더 우수해서

집행 예산이 부족하면

2번 매체를 포기하고 8번 매체를 선택해야 한다는

안타까운 결론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안타까운 이유는

Assisted Conversion이라는

절대 값을 보시면 쉽게 공감하실 수 있습니다.

 

2번 매체 간접 전환수의 절대값이 

8번 매체 간접 전환수의 5배에 달하기 때문입니다.

 

보조_전환_지표.jpg

 

6.

다양한 유료 매체를 운영할 수록

개별 매체사가 집계하여 해당 매체의 대행사가 어필하는

간접 전환수와 금액은 무시하셔야 합니다.

 

저희는 예외없이

Google Analytics의 아래 보고서에서 집계된

개별 소스/매체의 직접 전환 금액만으로

각 소스 매체의 재무적 가치를 평가합니다.

 

소스_매체별_전환금액.jpg

 

사실,

냉정한 재무적 평가 기준은 아닙니다.

개별 매체가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정도를 무시하는 것이

결코 가장 현명한 선택일 리는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가장 덜 어리석은 선택이라는 점도 분명합니다.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개별 매체사가 제각각 측정하는 간접 전환액을 합산하면

자사몰에서 실제로 발생한 매출 총액보다 커지기 때문입니다.

 

둘째,

Google Anlaytics의 개별 소스 매체 보고서에서

집계한 직접 전환 금액의 총합은

자사몰의 매출 총액보다 왠만하면 작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차액은 모든 임직원의 공로라고

분류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본 포스팅의 2항부터 설명해 드린 내용으로

이미 공감하셨을 것 같습니다.

 

셋째,

본 포스팅의 2항부터 설명해 드린 내용을 염두에 두시면서

개별 소스/매체의 직접 전환 금액을 평가하시면

자연스럽게 각 소스/매체의 간접 전환 기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1. 28
    Aug 2021
    17:57

    구글 애널리틱스 4의 이벤트 측정 방식을 알아보세요. - 3

    이번 포스팅에서는 Google Analytics 4의 이벤트 추적과 수집 기능을 자세하게 알아 보겠습ㄴ다. 사실 이전의 두 포스팅은 Google Analytics 4의 이벤트 추적 기능을 본격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워밍업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저희...
    Bysingleview.co.kr Views850
    Read More
  2. 21
    Aug 2021
    11:29

    구글 애널리틱스 4의 이벤트 측정 방식을 알아보세요. - 2

    이전 포스팅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가장 핵심적인 모델 중 하나인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 데이터 모델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이벤트 데이터 모델 알아보기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 데이터 모델을 충분히 이해하셨다면 이번 포스팅에...
    Bysingleview.co.kr Views560
    Read More
  3. 11
    Aug 2021
    17:49

    구글 애널리틱스 4의 이벤트 측정 방식을 알아보세요. - 1

    구글 애널리틱스 v4는 그 직전 버전인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와 구조적으로 많이 다릅니다. 구글에서 일하는 개발자들에게도 서비스의 구조 변화는 달갑지 않은 도전이죠. 구글이 Urchin을 인수한 후에도 계속하여 개선했지만 현재의 인터넷 사용 방식과 기술은 ...
    Bysingleview.co.kr Views10225
    Read More
  4. 06
    Aug 2021
    06:49

    구글 애널리틱스 4의 체류 시간 측정 방식 이해하기

    저희가 광고주님들과 이야기를 나눠 보면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구글에서는 어느새 구글 애널리틱스 v4를 출시하고 더 이상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계정은 생성하지 못하게 했습니다. 우리가 너무 게으른 것인지 구글이...
    Bysingleview.co.kr Views3447
    Read More
  5. 30
    Jul 2021
    12:28

    GRP를 알아야 CPC를 더 정교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 4

    이전 포스팅에서는 동일한 GRPs, 다시 말해, 동일한 전파 광고 예산으로 광고 도달률(Reach)과 노출 빈도(Frequency)를 광고주의 입맛대로 조절할 수 없지만 목표 고객 선별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온라인 광고 매체에서는 목표 집단 설정이나 Remarketing...
    Bysingleview.co.kr Views693
    Read More
  6. 21
    Jul 2021
    17:57

    GRP를 알아야 CPC를 더 정교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 3

    GRP라는 전통 TVC 매체의 평가 지표를 소개하면서 시작한 연재는 점점 더 CPC라는 신생 온라인 매체의 평가 지표를 향해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GRPs와 CPRP라는 전통 매체를 평가하긴 위해 매우 중요한 지표를 살펴보았습니다. GRPs = Ratin...
    Bysingleview.co.kr Views1557
    Read More
  7. 13
    Jul 2021
    18:59

    GRP를 알아야 CPC를 더 정교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 2

    CPC로 대표되는 온라인 매체를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TVCF로 대표되는 전통 매체도 깊고 넓게 이해해야할 필요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 이전 포스팅에서는 아래의 두 가지 전통 매체 평가 지표를 살펴보았습니다. *. Rating *. Household Using TV / People...
    Bysingleview.co.kr Views1096
    Read More
  8. 08
    Jul 2021
    04:00

    GRP를 알아야 CPC를 더 정교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 1

    온라인 매체와 전통 매체의 같고 다른 점을 정확히 이해할 수록 온라인 브랜딩을 시작할 때 더 효율적으로 혹은 효과적으로 매체 예산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인의 독특한 사상을 이해하려면 단군 신화부터 살펴보는 것이 2000년대의 상황부터 ...
    Bysingleview.co.kr Views671
    Read More
  9. 29
    Jun 2021
    14:53

    네이버 파워링크 키워드 검색수로 평가하는 시장 규모 혹은 타당성

    온라인 브랜딩을 시작할 때 전략 수립의 기초는 키워드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이미지나 동영상 광고의 비중과 그로 인한 중요성이 훨씬 더 크지만 그래도 온라인 브랜딩의 기초 전략은 키워드에서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다소 인문학적인 이유...
    Bysingleview.co.kr Views329
    Read More
  10. 22
    Jun 2021
    14:38

    여러가지 온라인 브랜딩 매체를 운용할 때, 매체 기여도를 중릭접으로 평가하는 방법

    온라인 브랜딩을 개시하는 초기에는 네이버 키워드 광고, 쇼핑 광고와 같이 짧은 시간에 투자 대비 효과가 발생하는 한 가지 유료 검색 매체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조직의 다양한 필요가 발생하여 운용하는 유료 검색 매체가 계...
    Bysingleview.co.kr Views478
    Read More
  11. 16
    Jun 2021
    11:40

    UTM Parameter를 적용할 때 흔한 실수를 피하세요.

    자사몰이나 브랜드 홈페이지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방문자를 증가시키는 노력을 하신다면 UTM이라는 단어는 한번 이상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UTM이라는 단어를 매우 흔하게 접해서 친숙하게 느끼실 수 있지만 제대로 사용하시려면 주의해야 하는 점이 있습니...
    Bysingleview.co.kr Views3447
    Read More
  12. 18
    May 2021
    13:33

    네이티브 광고 매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추적코드를 세밀하게 부여하기 어려운 바이럴 매체를 운영하며 잠재 고객의 성향과 가점을 추론하는 방법을 실무적인 관점에서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1. 네이버 블로그와 같은 네이티브 혹은 바이럴 광고 매체의 특징 네이버 블로그와 같...
    Bysingleview.co.kr Views515
    Read More
  13. 11
    May 2021
    08:02

    추적 코드가 부여된 UTM Parameter의 의미

    예산을 투입하여 온라인 캠페인을 시행하면 예산을 투입한 의미를 평가해야 합니다. 예산의 의미를 평가할 때 중요하게 기억하셔야 하는 전제는 "나의 사이트로 트래픽을 유입시킨다"입니다. 물론, 현실에서는 나의 사이트로 유입시킬 수 없거나 SNS 운용사의 ...
    Bysingleview.co.kr Views1096
    Read More
  14. 05
    May 2021
    16:48

    신생 브랜드의 담당자 입장에서 알아야 하는 온라인 매체 특성

    이전 포스팅에서는 온라인 브랜딩 자체의 정의와 온라인 브랜딩 성공의 정의를 아래의 도표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온라인 브랜딩의 관점에서 구분할 수 있는 온라인 매체는 여러 가지입니다. 또한, 모든 매체는 개별적으로 매...
    Bysingleview.co.kr Views666
    Read More
  15. 01
    May 2021
    11:11

    온라인 마케터 관점에서 디지털 매체의 구성을 알아보세요. 4

    이전 포스팅에서는 여러 온라인 매체 중에서 키워드 검색 광고의 구조와 개념에 대해서 아래의 도표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살펴보시는 여러분 만큼 설명하는 저희도 괴롭습니다. 간단한 걸 어렵게 설명하면 당연히 안되겠지만 ...
    Bysingleview.co.kr Views422
    Read More
  16. 03
    May 2021
    11:16

    온라인 마케터 관점에서 디지털 매체의 구성을 알아보세요. 3

    이전 포스팅에서는 비검색 매체와 검색 매체의 유형과 주요 차이점 Paid라는 단어의 개념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네이버 블로그 바이럴 캠페인의 주의 사항을 아래의 도표와 함께 간략히 살펴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이전 포스팅에서는 위 도표에 ...
    Bysingleview.co.kr Views378
    Read More
  17. 01
    May 2021
    10:32

    온라인 마케터 관점에서 디지털 매체의 구성을 알아보세요. 2

    이전 포스팅에서는 유튜브가 등장한 이후 전통 매체에서 망설이던 광고 시장이 급변하고 그 결과, 브랜딩이라는 행위와 관련된 방법론도 새롭게 이해야 할 필요가 증가했다는 점을 아래의 도표와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이전 포스팅에서...
    Bysingleview.co.kr Views384
    Read More
  18. 30
    Apr 2021
    15:18

    온라인 마케터 관점에서 디지털 매체의 구성을 알아보세요. 1

    불과 7년전 만 해도 네이버에서 키워드 광고만 신경 쓰면 온라인 영업 성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었습니다. http://singleview.co.kr/blog/500 하지만 지난 7년 간 인간의 사회가 변한 만큼 온라인 매체의 구조도 크게 변하고 복잡해졌습니다. 1. 온라인 광고 ...
    Bysingleview.co.kr Views700
    Read More
  19. 12
    Jul 2015
    19:58

    How To Email Marketing

    이메일 마케팅 캠페인에서 성과를 얻으려면 open rate에서 시작하여 이메일 본문 중에서 클릭과 전환을 증가시켜야 하는 매우 과학적인 과정입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한번 더 꼼꼼하게 정리해 볼까요? HTML을 사용해야 할까? 단순 텍스트 이메일...
    Bysingleview.co.kr Views1053
    Read More
  20. 05
    Jul 2015
    00:41

    CPC 매체는 어떻게 운영해야 할까요?

    온라인 쇼핑몰과 같은 사이트를 운영하면 CPC 매체 운영 때문에 머리가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 당신의 사이트에 충분한 트래픽을 유도하는 것의 전제는 대부분의 방문자가 당신의 사이트에 유효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당신의 서비스나 사이트에 관심...
    Bysingleview.co.kr Views9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SEARCH